Global Edu.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Global Edu.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4)
    • 수학(math) (2)
    • 읽기(reading) (0)
    • 쓰기(writing) (0)
    • 어원(Greek&Latin Root) (0)
    • 인성(character) (0)
    • 다른 점, 같은 점(comoare&contrast.. (2)

검색 레이어

Global Edu.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분류 전체보기

  • 가로 세로, Length Width?

    2024.04.05 by 진쌤

  • 어라? 이건 완전 다르네!

    2024.04.03 by 진쌤

  • 답이 하나일까? 조금만 더 생각해봐~

    2024.03.12 by 진쌤

  • RDW-문제 속에 답 있다.

    2024.03.04 by 진쌤

가로 세로, Length Width?

"선생님, 어디가 가로에요?" "Mr. J! Which side is the length?" "It doesn't matter. Any side can be the length." "상관 없어. 어느 쪽이든 가로가 될 수 있어." "네?" "Huh?" 사각형(rectangle), 또는 사각 기둥(rectangular prism)의 넓이(area) 또는 부피(volum)를 구하는 문제를 만났을 때 아이들이 자주하는 질문과 선생님이 늘 하는 답이다. 한국말은 가로와 세로의 개념이 분명하다.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수평이로 이어지는 게 가로, 위에서 아래로 수직으로 이어지는 게 세로! 그래서 시각형이 있을 때 수평으로 놓이는 두 변 중 주로 아래 쪽 것을 재어 가로라고 말한다. 윗변을 재도 마찬가지. 직사각형이라..

다른 점, 같은 점(comoare&contrast) 2024. 4. 5. 15:09

어라? 이건 완전 다르네!

"C선생님, 저 이거 맞았는데, 왜 틀렸다고 표시하셨어요?" "Mr.C, I got the correct answer, but you checked it's wrong. why?" "I didn't check it's wrong." "틀렸다고 체크한 거 아니야." "그런데 왜 체크마크를 주셨나요? "Then, why did I get the check mark?" "그 사인은 답이 맞았다는 뜻이야." "That sign means the answer is correct." "네? 그럼 틀린 답 표시는 뭐에요?" "Huh? What is the sign for the wrong answer, then?" "It's a circle around the number of problems." "문제 번호에 친 ..

다른 점, 같은 점(comoare&contrast) 2024. 4. 3. 15:24

답이 하나일까? 조금만 더 생각해봐~

"다했어요!" "I'm done!" 아이들에게 과제를 주고 돌아서면 바로 쏟아져 나오는 소리다. 물론 누군가 그 소리를 외칠 때까지 시작도 하지 않는 아이들도 있지만. 그런데 다했다는 소리에 가 보면 '음~~'하고 고개를 갸웃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. 지난 수학시간에도 그랬다. 도형에 대해 배우는 시간, 사각형의 속성에 대해 배우고 있었다. Quadrilateral(사변형), trapezoid(사다리꼴), parallelogram(평행사변형), rhombus(마름모), rectangle(직사각형), square(정사각형)가 줄지어 소개되었고 각각의 사변형, 즉 사각형이 가지는 속성을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. name properties quadrilateral a polygon with 4 sides and..

수학(math) 2024. 3. 12. 13:46

RDW-문제 속에 답 있다.

“아휴… 정말 싫어요!” “귀찮아요!” “눈 아파요!” “머리도 아파요!!” 수학시간에 이런 소리가 터져나올 때가 있다. 문장형 문제, 즉 영어 문장으로 된 문제를 풀어야 할 시간이다. 두세줄짜리 영어 문장을 읽고 답을 찾는 문장형 수학 문제를 대부분의 아이들이 싫어 한다. 차근히 읽어가며 진짜 답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골치 아프고, 대체로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그 과정을 해 나가는 게 귀찮기 때문이다. 그런 수학 문제를 푸는 데 적용하라고 가르치는 게 있는데, 바로 RDW다. Read, Draw, and Write ! 예를 들어 35개의 사과를 5개 상자에 담아 파는데, 상자당 20달러라고 한다면, 존은 총 얼마나 벌게 되는가? 라는 문제를 푼다고 해보자. 먼저 문제를 찬찬히 읽는다..

수학(math) 2024. 3. 4. 15:50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Global Edu.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